본문 바로가기

교육29

게임과 유튜브에 빠진 중학생도 공부 습관 잡을 수 있을까? "학원 수업 외엔 공부를 안 해요. 집에 오면 휴대폰을 손에서 놓지 않아요!""주말엔 하루 종일 게임하거나 유튜브만 봐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중학생 자녀를 둔 부모라면 한 번쯤 해봤을 고민이죠. 아이가 게임과 유튜브에 푹 빠진 모습을 볼 때마다 불안하고 잔소리부터 나오기 마련입니다. 하지만 중학생쯤 된 아이에게는 그 말이 먹히지 않는다는 걸 대부분 경험하셨을 거에요. 아이의 자존감을 건드리지 않으면서 공부 습관을 자연스럽게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은 과연 무엇일까요? 아이의 관심사를 있는 그대로 바라보자 중2 아들을 둔 A씨는 아이가 하루에 유튜브를 3~4시간씩 보며 공부를 소홀히 하는 것이 큰 고민이었고, 특히 특정 유튜버의 콘텐츠에 열광하며 매번 따라하는 모습에 걱정이 컸다고 해요. 하지만 A씨.. 2025. 8. 9.
아이의 진로, 언제부터 고민하고 준비해야 할까? “아직 중학생인데, 진로는 고등학교 가서 고민해도 되지 않나요?” 많은 부모님들이 갖는 공통된 질문입니다. 하지만 교육 전문가들은 중학생 시기를 '진로 탐색의 결정적 시기'라고 강조합니다. 중학교는 아이가 자신에 대해 알아가고, 미래를 구체적으로 상상해볼 수 있는 첫 번째 관문이기 때문이에요. 특히 중학교 2~3학년은 고등학교 진학의 경로를 결정하는 시기이라서 더 중요해요. 진로에 따라 특목고, 마이스터고, 일반고, 특성화고, 자율고 등 다양한 선택지가 존재하기 때문에 진로에 대해 미리 고민하고 방향을 정한 학생이 대학 진학도 더 수월할 수밖에 없어요. 중학생 때는 사춘기를 심하게 겪지만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는 시기이기도 해요. 따라서 "나는 누구인지? 어떤 일을 잘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하게 됩.. 2025. 8. 7.
중학생에게 꼭 필요한 수면 습관 만들기 중학생의 적정 수면시간은 하루 평균 8~10시간입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수면재단(NSF) 등 주요 기관이 권장하는 기준으로 성장기 뇌 발달과 학습 능력, 정서 안정을 위해 필요한 시간이에요. 연령대별 권장 수면 시간신생아 (0~3개월)14~17시간낮·밤 구분 없이 수면 지속영아 (4~11개월)12~15시간낮잠 포함유아 (1~2세)11~14시간낮잠 1~2회 포함미취학아 (3~5세)10~13시간낮잠 1회 포함초등학생 (6~13세)9~11시간학습·운동·사회활동 고려청소년 (14~17세)8~10시간성장호르몬 분비 및 정신건강에 중요청년·성인 (18~64세)7~9시간일상 피로 회복, 인지기능 유지에 필수고령자 (65세 이상)7~8시간낮잠 포함이지만 밤잠 확보가 우선 권장 수면 시간은 키 성장이나.. 2025. 8. 6.
중학생 용돈, 적정 수준과 관리 방법은 "우리 아이 용돈, 얼마가 적당할까요?""용돈으로 소비하는 항목에는 어디까지 포함되는게 맞을까요?" 많은 부모들이 중학생 자녀를 키우면서 한 번쯤은 고민하는 질문입니다. 아직 돈의 가치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시기, 그럼에도 사회적 소비가 점점 늘어가는 중학생 때는 용돈을 잘 주는 것보다 잘 가르치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저희 아이는 초등학생 때까지는 용돈에 대한 개념이 없었는데, 중학생이 되면서 용돈을 요구하기 시작했어요. 현재 중2이고 월 5만원씩 주고 있어요. 용돈 외에도 명절이나 특별한 날 가족들로부터 받은 돈을 모아서 아이패드, 키보드 같은 전자기기를 구매하거나 자기가 좋아하는 게임 아이템을 주로 삽니다. 반면 친구들과 집 밖에서 어울리기 좋아하는 애들은 식음료비나 영화/공연 관람료 등으.. 2025. 8. 5.
후기고 유형별 입학 전형 후기고는 전기고 전형이 모두 끝난 뒤 입시를 실시하는 학교로, 중3 기말고사 이후부터 원서 접수를 시작해요. 크게 교육감 선발고인 일반고와 학교장 선발고 특수목적고(외국어/국제계열), 자율형 사립고, 예술/체육 중점학급, 일반고(한광고/한국삼육고)로 나뉘어요. 특수목적고(7교) - 외국어/국제계열 특목고 중에서도 외국어고등학교와 국제고등학교는 후기에 전형을 진행합니다. 대원외고, 대일외고, 명덕외고, 서울외고, 이화여자외고, 한영외고, 서울국제고가 여기에 해당되는데, 이들은 1단계(서울 전지역) 지원을 할 수 없어요.● 원서접수: 12월초 (※후기 일반고와 같으며, 별도접수 필요)● 모집단위: 서울● 모집정원: 학교별 상이● 모집방법 1. 영어 교과성적(160점) 및 출결점수(감점) 1.5배수 선.. 2025. 8. 3.
전기고 유형별 입학 전형 전기고는 일반 후기고보다 먼저 입시가 진행되는 고등학교로, 특정 분야의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을 갖고 있어요. 따라서 입시 방식도 일반고와 다르고, 교육 과정도 특화되어 있어요. 전기고는 크게 영재학교, 특수목적고(과학/예술/체육계열, 마이스터고), 특성화고, 일반고(일부)로 나뉘는데 각 유형별 입학 전형을 2025학년도 서울시교육청 산하 학교 중심으로 알아볼게요. 영재학교(1교) - 서울과학고등학교 이공계 분야에서 뛰어난 재능을 가진 학생들을 조기 발굴하여 대학 수준의 수학/과학 수업을 진행, 과학기술 분야의 세계적 리더로 성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대부분 과학기술원 부설이며 서울을 비롯한 경기, 광주, 대구, 대전, 세종, 인천, KAIST에 위치하는 전국 단위 학교에요. 서울과학고는.. 2025. 8.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