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감 예방접종 무료 대상자 및 일정
질병관리청에서 시행하는 25-26절기 독감(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이 오늘 9월 22일부터 시작됩니다. 당장 오늘부터 접종 가능한 대상자는, 생후 6개월~9세 미만 어린이 중 아직 한 번도 예방접종을 받지 않았거나 기존에 1회만 접종받은 어린이입니다.
생후 6개월~13세 이하 어린이(2012.1.1.~2025.08.31 출생)와 임산부는 오는 29일(월)부터 무료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을 받을 수 있고, 65세 이상(1960.12.31 이전 출생) 어르신은 10월 15일부터 연령대별로 접종이 시작됩니다.
예방접종은 주소지와 무관하게 가까운 위탁의료기관이나 보건소에서 받을 수 있으며, 위탁의료기관 정보는 정보는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 > 예방접종관리 > 지정의료기관 메뉴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 방문 시, 신분증 또는 신분 확인이 가능한 서류를 지참해야 합니다. 신분증이 없는 어린이는 주민등록등본이나 국민건강보험증, 임산부는 산모수첩을 지참하면 됩니다.
독감 vs 감기, 어떻게 다른가?
흔히 [독감=독한 감기]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데, 독감과 감기는 엄연히 다른 질병이며 원인과 증상도 서로 다릅니다. 감기는 리노바이러스 외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으로 콧물, 기침, 미열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하여 38도 이상의 고열을 동반합니다. 심한 근육통과 두통에 시달리며 감기보다 심한 기침을 하게 됩니다. 한마디로 감기에 비해 훨씬 지독한 질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독감이 성행하는 시기
독감은 보통 11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 발생되는데, 그 중에서도 12월부터 2월 사이에 가장 심하게 번집니다. 예방접종 후 몸에 항체가 만들어지기까지 약 2주가 소요되므로 미리 맞아 두시기를 추천합니다.
예방접종의 면역 지속기간은 4~6개월 정도라 너무 일찍 맞으면 다음해 후반부에 면역력이 떨어질 수 있으니 10월 중순에서 11월 초순 사이에 맞는 것이 제일 좋습니다.
독감 백신 종류 및 비용
무료 대상자에 해당되지 않는 분들은 일반 소아청소년과, 가정의학과, 내과 등을 방문하여 비용을 지불하고 맞아야 합니다. 3가는 2~3만원, 4가는 3~4만원 선인데, 병원마다 비용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사전에 전화로 문의해 보거나 지역 맘카페 등을 통해 가격을 먼저 확인해보고 방문하는 것도 방법일 듯 합니다.
독감 예방접종 후 증상
개인차가 있겠지만 주사 부위가 붓거나 통증 수반, 미열, 피로감 등의 증상이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납니다. 심할 경우 호흡곤란, 전신 두드러기 같은 알러지 반응이 나타날 수도 있으니, 접종 후 20~30분 동안은 접종기관에 머물렀다가 이상반응 여부를 확인한 뒤 귀가하는게 좋습니다. 귀가 후에도 충분한 휴식과 수분을 취해야 하며, 손을 자주 씻고 환기를 해주어야 이상 반응의 확률을 줄일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롯데카드 정보유출 피해 보상방안 (0) | 2025.09.18 |
---|---|
한강버스 노선 및 요금, 예약 방법 (0) | 2025.09.17 |
상생페이백 예상 환급금 조회 및 신청 방법 (0) | 2025.09.16 |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대상자 선정 기준 (0) | 2025.09.12 |
KT 소액결제 해킹 사건과 대응책 (0) | 2025.09.11 |
롯데카드 해킹사고 대처방안 (0) | 2025.09.02 |
청년에 이어 청소년도, 기후동행카드 할인 적용 (0) | 2025.09.01 |